본문 바로가기
  • 의학서적, 간호, 건강, 육아, 유아, 세상 모든 도서
내과/소화기

임상의를 위한 소화기 내시경 삽입법 35가지

by TiStOrY티스토리 2010. 6. 22.

                       

 

임상의를 위한 소화기 내시경 삽입법 35가지

Hajime Kuwayama 지음 / 정성애 옮김 / 978-89-90933-85-0 / 138p / 페이퍼백

 

역자 서문
 내시경 검사는 환자들이 꺼리는 검사일 뿐 아니라 의사 입장에서도 환자를 힘들게 하거나 실패할 수도 있다는 부담감이 늘 있는 검사이다. 역자가 매일 내시경을 하면서 느낀 점이기도 하지만, 실습에 임하는 학생들이나 내시경 술기를 처음 배우는 전공의들 또는 전임의들에게 내시경을 가르치면서 실감하는 것은 처음 술기를 제대로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처음 배운 대로 내시경을 시행하게 되고 처음 배운 과정이 버릇이 되고 익숙해져서 나중에는 고치기가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이 책의 특징은 내시경을 처음 배우는 의사들이나 내시경 보조를 하는 간호사들에게 유익하도록 내시경 시술을 위한 준비과정과 내시경 검사의 세세한 과정 하나하나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고 내시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일일이 열거하여 다루고 있다. 내시경 기계를 다루는 요령 및 주변 기기들을 살피는 방법들도 언급되어 있다. 내시경 시술을 배운지 10년이 넘은 역자도 번역 교정을 보는 과정에서 제대로 시술을 하고 있는지 스스로를 돌아보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 책이 내시경을 배우기 위해 내시경실에 첫 발을 딛는 전공의와 전임의들에게 곁에 두고 있는 책으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미 검사에 익숙하신 선생님들이 수월하게 하는 과정은 때로는 설명을 하거나 질문하기가 어려운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초보자들의 가려운 부분을 시원하게 도와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모쪼록 내시경을 시작하는 선생님들이나 이를 보조하는 간호사들이 내시경을 하는 과정이 환자들이 얼마나 불편한가를 늘 상기하면서, 가능한 그들의 어려움을 덜어주고 정확하게 내시경 소견을 해석하는 일에 주력할 수 있기를 바란다.

2009년 3월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화기내과
정 성 애

 

목차

■ 저자 서문
■ 역자 서문

 I 상부ㆍ하부 내시경 공통
  1. 검사 전 내시경 기자재의 확인
  2. 내시경 송기, 흡입 확인
  3. 내시경의 upㆍdown, 잠금 기능 확인
  4. 자동 광량 조정과 화이트 밸런스 확인

II 상부 내시경
  5. 경비 내시경에서 비강내 통과법
  6. 구강을 쉽게 통과하는 방법
  7. 인두부를 순조롭게 통과하는 방법
  8. 구역 반사가 심한 경우
  9. 내시경을 기도에 삽입하지 않기 위한 방법
 10. 식도-위 접합부를 통과하는 경우
 11. 식도 내에서 반전되었을 경우
 12. 위 분문부 관찰
 13. J턴으로 위각이 보이지 않을 경우
 14. 위체부 후벽이 보이지 않을 경우
 15. 폭포위
 16. 유문륜 통과 요령
 17. 구부를 빠짐없이 보는 방법
 18. 십이지장 하행각으로의 삽입과 관찰

III 하부 내시경
 19. 공기량의 조절
 20. 경도 기변 내시경과 P 내시경
 21. 항문에서 직장으로의 진행 방법
 22. S자결장을 순조롭게 넘기 위한 방법
 23. S자결장을 넘을 수 없을 경우
 24. 휘는 현상과 비틀어지는 현상의 해결법
 25.「루프」해제의 요령
 26. 손을 이용한 복무 압박의 포인트
 27. 첨단 투명 캡의 사용법
 28. 대물렌즈에 잔재가 부착하여 제거되지 않을 경우
 29. 슬라이딩 튜브의 사용법
 30. 횡행결장을 순조롭게 통과하기 위한 방법
 31. 상행결장을 순조롭게 통과하기 위한 방법
 32. 게실이 많을 경우
 33. 회맹부로의 상입법
 34. 체위 변환이 유용한 경우
 35. 반전법

IV 내시경으로 진단된 특징적인 증례
  1. 진단이 곤란했던 점막 하에 침윤한 식도암
  2. H.pylori 제균 후의 MALT 림프종
  3. 십이지장의 GIST
  4. 과형성암
  5. NSAIDs 기인성 대장염

■ 찾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