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15 환자의 호소와 증상으로 알 수 있는 약의 부작용 환자의 호소와 증상으로 알 수 있는 약의 부작용 [페이퍼백] Fumiko Ohtsu 지음 | 윤상아 옮김 | 신흥메드싸이언스 최환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가정의학과 전공의 수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의학박사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과장(역임)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건강증진센터 소장(역임)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과장(역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주임교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장 옥선명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가정의학과 전공의 수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의학박사 미국 Harvard Medical School, Osher Institute 연수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가정.. 2010. 9. 8. 최신 임상 한방의학 - 진단과 처방- (2Vols) 최신 임상 한방의학 - 진단과 처방- (2-Volume Set) 미즈노 슈이치 / 조기호 외 옮김 / 978-89-90933-75-1 / 950p / hardcover 역자서문 「초국가(transnationalism) 전통의학을 지향하면서」 통합의학 교과서의 전형은 『세실 의학교과서(CECIL Textbook of Medicine)』 『해리슨 내과학(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을 들 수 있다. 이들 의학서가 전세계 의료인에게 필독서로 여겨지는 것은 일반적이면서도 특수한 특징(general & special)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즉 의학 전 분야를 망라하면서 각 분야 전문가들이 집필한 편집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런 면에서 8개 한방전문의 제도까지 발.. 2010. 7. 9. Dermatology:Fundamentals of Practice Dermatology:Fundamentals of Practice Robin Graham-Brown 외 / 978-0-7234-3447-4 / Mosby / 328p / 886 illus / Softcover Description Endorsed by the Royal College of General Practitioners, London, for postgraduate dermatology training, 'Dermatology: Fundamentals of Practice' helps with the diagnosis of skin symptoms using history, examination, incremental investigations and referral. Side effects of.. 2010. 6. 22. Anesthesiologist's Manual of Surgical Procedures,4/e Anesthesiologist's Manual of Surgical Procedures, 4th Edition Richard A Jaffe / 978-0-7817-6670-8 / LWW / 1408p / 350 illus / Hardbound Completely updated, and now in full color, this practical reference is a comprehensive guide to the anesthetic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of patients during all procedures performed by general and subspecialist surgeons. The book explains each procedure from b.. 2010. 6. 22. 일상진료에 꼭 필요한 기본치료제 115가지 (양장본) 일상진료에 꼭 필요한 기본치료제 115가지 Yasuhiko Tomino 지음 / 이상화 옮김 / 9788990933881 / 550p / 양장본 도서 보러 가기 서문 최근 각 질환에 있어서 수술이나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를 포함한 다학제 치료가 눈부시게 발전해오고 있다. 그러나 내과계 질환을 중심으로 한 많은 질환에 있어서 약물요법이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치료의 중심이라는 것은 변함이 없다. 약물요법에 있어서는 여러 기관에서 이루어진 무작위 위약 대조 시험(RCT)에 의한 임상 성적이 중요하여 EBM(과학적 근거에 기초를 둔 의학)의 개념이 중시되고 있다. 때문에 의학 교육 및 임상 실습에 있어서 임상 약리학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각 대학에 임상 약리학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 이용되고.. 2010. 6. 2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