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학서적, 간호, 건강, 육아, 유아, 세상 모든 도서
외과/정형외과

임상 고관절학

by TiStOrY티스토리 2010. 6. 22.

 

 

고관절 임상에 관한 최초의 한글판!

 

고관절의 발생 기원을 비롯하여 X선 사진을 통한 검사ㆍ진단법과, 생생한 수술 장면 사진이나 이해를 돕기 위한 독창적인 그림을 통해 다양한 치료법을 소개하였다. 우리나라와 서양은 질환의 비중이 다르다는 점에서 볼 때, 이 책은 같은 동양권 저자이므로 조금 더 피부에 와닿고 실제적이다. 특히 일본에서 개발된 다양한 수술법이나 절골술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임상 고관절학

이중명 옮김 / 89-90933-47-1 / 올컬러 / 368쪽 / 양장본

 

역자서문 
 
 본 역자가 정형외과 의사를 시작한 지 27년이 되었고 정형외과 전문의가 된 후에도 고관절 분야만 전문으로 환자의 진료와 수술 또는 연구발표 등을 한 지도 20년째다. 우연히 이 책의 번역을 의뢰받고 두 가지 면에서 관심이 있어 번역 작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첫째로 이 책의 대표 저자인 기타자토 대학의 Itoman 교수와는 개인적인 친분이 있으며, 저자가 학문적 깊이가 있고 창조적이며 매사에 정확한 분으로 느껴졌기에 어떤 내용인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둘째로 미국이나 유럽의 영어로 된 기존고관절 교과서와는 다르게 그림이 많고 임상의 관점에서 설명되어 있어 전공의나 일반 정형외과의 심지어 고관절을 전문으로 하는 의사들까지도 쉽게 이해하고 꼭 알아야 될 내용들이 있어 번역을 하기로 생각하였다.
 역자도 전공의 시절부터 영어로 된 외국의 유명한 서적을 비롯하여 많은 문헌틀을 접해왔다. 하지만 비교적 영어에 익숙한 의사들조차도 영어로 된 문장에는 속도가 느라고, 심지어는 영어의 뉘앙스 때문에 뜻이 잘못 전해지는 경우까지 있다.
 그래서 한글로 된 홀륭한 책들이 많으면 좋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며, 역자가 알기로는 한글로 된 고관절의 전반에 관한 서적이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 책은 비록 번역서이지만 고관절 분야의 전반을 다루면서 학생, 간호사, 전공의, 전문의, 또는 고관절 분야의 전문 지식이 필요한 분이 읽을 만한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참조하고 공부하는 미국이나 서양의 책들을 보면 우리나라에서는 흔한 질환, 예를 들면 무혈성 괴사 질환이 큰 비중 없이 다루어졌으며 반대로 우리나라에는 아주 드문 질환이 크게 다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책에 씌어 있는 내용은 일본의 경우지만 같은 동양권으로 다루어지는 질환의 중요성이 비슷하다는 것에 친숙함이 느껴지며 한편으로는 실제 임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내용들이라는 것이다 .
 또 내용면에서도 위에 언급된 장점뿐만 아니라 보통의 책에서 잘 언급되어 있지 않는, 실제적 임상에서 사용하도록 진단 치료 방향 등이 비교적 잘 언급되어 있다. 또 기존의 외국 책에서 보지 못한 독창적인 그림은 글을 통해 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외준다. 특히 일본에서 개발된 다양한 수술법들이나 절골술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있다.
 번역 과정에서 일본어에 능통하지 못한 역자이기에 초벌 번역으로 번역을 하느라 어려움이 많았다. <정형외과학 용어집>과 <정형외과학>(정형외과학회 발행)에서 사용한 용어를 원칙적으로 사용하려고 노력하였고, 가능한 한 원래의 문장을 사용하였으며, 의사 전달을 위해 약간 의역을 한 경우도 있다. 실제로는 적당한 용어를 찾기 힘들거나 용어의 통일이 잘 안 되는 등 용어의 사용에서 아쉬웅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책을 번역하면서 도움을 준 국립의료원 정형외과 의국원과 (주)신흥메드싸이언스 출판사 관계자 여러분에게 감사를 드린다.

2006년 3월
이 중 명 (국립의료원 정형외과과장)


역자소개

이 중 명
학력
 1979. 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1990. 2. 서울대학교 의학박사 취득

주요경력
1980. 국립의료원 인턴 수료
1984. 국립의료원 정형외과 전문의 취득
1987. 국립의료원 정형외과 근무 시작(고관절 전문의)
1990.9. ~1991. 9. 미국 뉴욕 코넬 의대 Hospital for Special Surgery에서 인공 고관절 연수
1994.~현재 국립의료원 정형외과 과장

학회활동
1994.~1998 대한 고관절 학회 총무 역임 
                  대한 정형외과 학회 보험위원 역임
1994.~2000 대한 정형외과 학회 편집위원 역임
현재  대한 고관절 학회 차기 회장(2006. 11.~2007. 11.)
        대한 고관절 학회 평의원 
        대한 정형외과 학회 교과서 편찬위원
        골연부 조직이식 학회 평의원
        서울대학교 외래교수
논문
대한 정형학회지, 대한 고관절학회지, JBJB 등에 60여 편의 논문 게재

 

 

목차

 

서문
역자 서문

I.발생과 기능 해부
 1.고관절의발생 
  활막성관절의발생  
  고관절의 발생

 2.고판절의 해부와 기능 해부 
  고관절의기능
  체표에서 촉지 가능한 골 기준점 
  관절연골
  관절낭, 인대, 활막, 비구 순  
  고관절의 근육들
  고관절의 혈관과 신경  

 3.고관절의 생역학  
  생역학의 기초  
  골ㆍ관절의 구조와 기계적 성질  
  고관절의생역학 
  골다공증과 경부 골절  
  히프 프로텍터로 경부 골절 예방 

 

II.검사법과진단법
 1.임상 증상으로 본 감별 진단
  통 증
  변 형 
 
 2.고관절의 진단법
  주증상과 문진
  시진(視診)  
  촉진(觸診)  
  청진(聽診)  
  후진(後診)  
  도수 검사(하지 길이, 관절 운동 범위, 근력) 
 
 3.영상진단과 보조진단 
  단순 X선 사진
  스트레스 X선 사진
  단층 X선 사진
  컴퓨터 단층 촬영(CT)
  자기 공명 영상(MRI)
  신티그래피(scintigraphy, bone scan, 골 주사)
  관절 조영
  관절경 검사
  초음파 검사
  세균학적 검사
  관절액 검사
  병리 조직 검사

 

III. 치료법
 1.약물요법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NSAIDs)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제(adrenal cortical hormone)
  항생제(antibiotics)

 2.보장구 요법 
  고관절보장구
  비체중 부하 보장구와 의족

 3.재활 치료
  • 운동요법
  관절 운동 범위(range of motion/ROM) 훈련
  근력 증강 훈련(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 보앵훈련

 4.고관절의 수술적 도달법
  Smith-Peterson 도달법
  Watson-Jones 도달법
  trans gluteal approach(Bauer 도달법)
  경전자 절골술을 이용한 도달법(transtrochanteric approach)
  후방 또는 후외측 도달법
 5.고관절의 절골술
  • 골반측의 절골술
  비구부 이동 절골술
  Chiari 골반 절골술 
  Salter 골반 절골술
  Pemberton 비구 성형술 
  • 대퇴골의 절골술
  내반(감염) 절골술(varus osteotomy)
  외반 절골술
  대퇴골 두(전ㆍ후방) 회전 절골술(스기오카식)

 6.인공 고관절 전 치환술, 인공 골두 치환술ㆍ재치환술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적응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의 적응
  수술 도달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의 주의할 점
  무균성 해리에 대한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
  감염된 인공 고관절에 대한 재치환술
  시술중 인공 고관절의 평가
  수술 후 관리

 

IV.질환과 외상
 1.선천성질환, 발육장애, 골 계통 질환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과 비구 형성 부전
  다발성 골단 이형성증 
  연골 무형성증(achondroplasia)
  선천성 내반 고(congenital coxa vara)
  관절 구축증(arthrogryposis)  
  뇌성 마비에 따른 고관절 장애
 2.고판절 주위의 외상
  고관절 주위의 운동 외상 
   ■ 견열 골절  
   ■ 피로 골절  
   ■ 외상성 고관절 탈구
   ■ 비구 골절
  대퇴골 경부 골절  
  대퇴골 전자부 골절
  대퇴골 전자하 골절 
 
 3.퇴행성 질환
  퇴행성 고관절증
  신경병성 관절증

 4.과사성 질환
  Perthes병(Legg-Calve-Perthes병)
  대퇴골 두 무혈성 괴사 
  증후성 대퇴골 두 괴사증 

 5.염증성 질환
  • 감염성관칠염  
  화농성 고관절염 
  결핵성 고관절염
  진균성 고관절염
  • 비감염성 관휠염 
  관절 류머티즘
  강직성 척추염
  활막성연골종증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

 6.고관절과 그 주변의 종양
  양성 골 종양
  악성골 종양  
 7.기타 질환
  고관절 주위의 점액낭염(bursitis around hip joint)
  발음성 고관절(snapping hip)
  고관절 주위 석회 침착증(chondrocalcinosis around the hip joint

V.고관절 수술의 합병증
 1.고관절 수술의 합병증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nous thrombosis/DVT)  
  폐 색전증
  지방 색전 증후군 
  혈관ㆍ신경 손상 
  감염성 인공 고관절

 부록
 찾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