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학서적, 간호, 건강, 육아, 유아, 세상 모든 도서
임상각과/피부과

피부 반점 치료 클리닉

by TiStOrY티스토리 2010. 6. 22.

피부 반점 치료의 길잡이!

 

반점 치료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다양한 치료 방법, 풍부한 임상 경험, 예리한 관찰력과 판단력, 통찰력으로 각 병변의 치료법에 대해 추천도, 치료의 강도, 치료 효과, 위험도에 대해 점수를 주었다. 따라서 치료 경험이 적은 분들에게는 치료법 선택에 시행착오를 줄여줄 안내서가 될 것이며, 경험이 많은 분들에게는 지지와 공감을 줄 것이다.

 

피부 반점 치료 클리닉

조동현 옮김 / 978-89-90933-67-6 / 올컬러 / 304쪽 / 양장본

 

서문

 

누구나 깨끗하고 맑은 피부를 가지고 싶어 한다. 얼굴에 있는 병변 중에서 검고, 누렇고, 검푸른 반점은 깨끗한 피부를 원하는 이들에게 있어서 고민거리다.
그 중에서도 기미(melasma), 후천성 진피멜라닌세포증(ADM), 노인성 반점(SK), 주근깨(freckles, ephelids), 염증후 색소침착(PIH) 등은 가장 흔한 병변이면서, 그것을 개선하기 위한시간, 비용, 노력 등의 스트레스를 준다. 특히 기미의 치료는 의사나 환자에게 그 치료의 경과나 예측이 편하지 않아 많은 고민과 어려움을주어, 때로는치료를 포기하기도 한다.
그동안 색소 병변에 대한 서적은 여러 종류가 소개되었지만 부분적으로 다루어졌을 뿐 집중적으로 쓰인 책은 찾기 어려웠다. 이번에 성형외과와 피부외과를 공부한 Kasai 선생의 저술은 얼굴의 반점, 얼룩 한 가지만을 대상으로 치료 경험을 기술하였다.
저자는 치료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다양한 치료방법, 풍부한 임상경험, 예리한 관찰과 판단력, 통찰력을 가지고 각 병변의 치료법에 대해서 추천도, 강약, 치료 효과, 위험도에 대해 점수를 주어 흥미롭다. 그래서 치료 경험이 적은 분들에겐 치료법의 선택에 있어 시행착오를 줄여줄 안내서가 되고 경험이 많은 분들에겐 지지와 동감을 준다. 저자는 특히, 기미의 치료에 있어 보존적 요법을 강조하고, 내복약의 효과에 대해서도 인상 깊은 경험을 보여준다.
아무쪼록 피부의 얼룩, 반점을 치료하는 여러 의학도들에게 신선한 자극이 되기를 바라고 여러분들의 치료 경험을 논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진다. 바쁜 일상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번역, 해석에 도움을 준 대한미용외과학회 임종학 회장과 백병원 성형외과 검재영 선생에게 심심한 감사를 보낸다. 

2007년 가을에
조 동 현(Dong-Hyeon Jo,M.D.)

 

♧ 역자 소개

조 동 현
서울대학병원 임상자문의
대한미용외과학회 자문위원
대한미용외과학회 이사
일본미용외과학회 회원
세계미용외과학회 회원
일본미용의학회 회원
대한치료레이저의학회 평생회원
대한의학레이저학회 정회원
대한외과학회 평생회원
전 이태권성형외과 레이저크리닉 원장
선이고은코젠크리닉 원장

 

목차

 

• 서문 IV
• 역자서문 V

I 총 론 1

1. 반점이란 무엇인가 4
2. 반점의분류 5 
 * Matsunaga(松永)의 반점 정의 6
3. 반점의색에대해 7 
* 피부 색의 기계진단 8
4. 반점의 경시적 변동 9
* 자외선과 반점 10
* 스트레스와 반점 10
5. 반점과 피부결 11
* 지성 건조피부 11
6. 화장품에대해 12
* 기능성 화장품의 작용 기전과 작용 시간에 대해 12
* 화장을 완전하게 지우는 것 13
7. 레이저에관한기초지식 14 


II 각 론 17

1장 - ADM
1-A.ADMOI란 어떤 반점(spot)인가 20

1. 후천성 진피멜라닌세포증(acquired dermal melanocytosis, ADM)이란 20
2. ADM의 진단기준 22
3. ADM과오타모반의 감별진단 22
4. ADM과 기미의 감별 진단 24
5. ADM의 조직상 27
* ADM의 표피 색소를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27 
* ADM의 본질은 일종의 지발성 모반 28
6. ADM의 임상상 29
* ADM은 독립 질환인가? 그렇다면 그 진단 기준은? 30
* ADM과 오타모반을동일 질환이라고생각하는Watanabe 31
* ADM의 발증원인에 대해 31

1-8. ADM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32
1. Q스위치 루비 레이저 치료 34
* ADM의 QSRL 치료에 대한 지금까지의 보고 41
* 레이저 전 처치의 의의와 '체로 거르는 효과’ 41
* 가피가 떨어지지 않아도 10일간 처치를 계속하게 하는 이유 42
* 필자가 레이저 시술 후 외용 요법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 42
* 필자의 클리닉에서 레이저 시술 후 색소침착이 적은 이유 43
2. Q스위치 알렉산드라이트 레이저 치료 44
* ADM의 QSAL 치료에 대한지금까지의 보고 45
3. Q스위치 Nd:YAG 레이저 치료 45
* ADM의 QSYL 치료에 6개월 이상의 간격이 필요한 이유 47
* ADM의 QSYL 치료에 대한지금까지의 보고 48 
4. 트레티노인 • 하이드로퀴논+QR치료(TOKYO대학식) 48
5. 약한 Q스위치 레이저 치료 49
6. 트라넥사믹산(tranexamic acid) 내복 51
* 필자의 이상한 경험 52
7. 냉동치료 53
8. 롱 펄스 레이저 치료 54
* 롱 펄스 레이저도 진피멜라닌세포증에 효과가 있지만..... 54
9. 섬광램프(flashlight)ㆍ고주파 전류류 55
10. 화학박피ㆍ이온도입 55
11. 트레티노인ㆍ하이드로퀴논 치료(TOKYO대학식) 55
12. 하이드로퀴논 외용 56
13. 코직산(kojic acid) 외용 56

2장 - SK
2-A. SK란 어떤 반점(spot)인가 58
1. SK(Seborrheic Keratosis)란 58
* SK와 햇볕 그을림 60
2. SK의 진단기준 61
3. 주근깨와 SK의 감별 진단 61
4. SK와 ADM의 감별 진단 63
5. SK의 조직상 63
6. SK의 임상상 66
* SK가 자주 발생하는 부위 68
7. PIH 후에 나타나는 SK 68
2-8. SK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70
1. Q스위치 루비 레이저 치료 71
2. 탄산가스 레이저 치료 77
3. 탄산가스 레이저와 QSRL의 조합 치료 81 
4. Q스위치 알렉산드라이트 레이저 치료 81
* 폐쇄 요법의 여러 가지 84
* 각얼음(ice cube) 만드는 방법 86
* 레이저 시술 후 차광은 필요 없는가 88
5. Q스위치 Nd:YAG 레이저 치료(532nm) 89
* 필자의 QYAG-532 치료의 역사 89
6. Q스위치 Nd:YAG 레이저 치료(1,064nm) 91
7. Er: YAG 레이저 치료 91
8. 강한롱펄스레이저치료 91
* 레이저 시술 후의 색소침착에 대해 92
9. 약한롱펄스레이저치료 93
10. 섬광램프(flashlight) 요법 94
* IPL치료에 관한 지금까지의 보고 96
* SK의 치료에는 섬광램프보다 레이저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게 된 계기 101
* 강한 섬광램프 치료와 약한 섬광램프 치료 104
* 젤과 미세가표(micro crust) 105
11. 표충 절제(shave excision) 107
12. 냉동치료 110
13. 전기소작 110
14. 절제수술 111
* 필자가 식은땀을 흘렸지만, 결과적으로는 잘된 ‘반점’의증례 112
15. 트라넥사믹산(tranexamic acid) 내복 114
16. 트레티노인, 하이드로퀴논등의 외용약 114
17. 트레티노인ㆍ하이드로퀴논 치료(TOKYO대학식) 114
* 필자가 TOKYO대학식 트레티노인+하이드로퀴논(Tr+HQ) 치료를 실시하지 않는 이유 115
18. 미세박피술 116
19. 화학박피 116
* 블루필(blue peel) 117
20. 오바지 NuDerm 시스템 117
21. 이온도입 118 

3-A. 주근깨란 어떤 반점인가 120
1. 주근깨란 120
* 유전성 대측성 색소 이상증(DSH) 121
* 후천성주근깨 122
2. 주근깨의 진단 기준 123
3. 주근깨와 SK의 감별 진단 125
4. 주근깨와 ADM의감별진단 126
5. 주근깨의 조직상 126
6. 주근깨의 임상상 126
7. 주근깨와 햇볕 그을림 129
3-8. 쭈근깨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130
1. 트라넥사믹산(tranexamic acid) 내복 131
2. 섬광램프(flashlight) 요법 131
3. Q스위치 루비 레이저 치료 135
4. Q스위치 알렉산드라이트 레이저 치료 136
5. Q스위치 Nd:YAG 레이저 지료(l,064nm) 136
6. Q스위치 Nd:YAG 레이저 치료(532nm) 136
7. 강한 롱 펄스 레이저 치료 137
8. 화학박피 137
9. 이온도입 138
10. 탄산가스 레이저 치료 138
11. 냉동치료 138
12. 트레티노인 외용 138
13. 하이드로퀴논 외용 139

4장 - 기미
4-A. 기미란 어떤 반점인가 142 
1. 기미란 142
2. 기미의 진단 기준 144
3. ADM과 기미의 감별 진단 145
4. 기미의 조직상 148
* 진피성 기미에 대해 148
* 진피성 기미와 ADM 149
5. 기미의 임상상 150
* 햇볕 그을림과 기미 151
* 스트레스와 기미 152
* 호르몬과 기미 152
* 필자의 수련의 시절의 Matsunaga(松永) 선생님과의 추억 152
6. 기미의 유연(類緣) 질환 154
* 수수께끼 같은질환 olheiras 157
7. 눈밑 기미의 감별진단 159
4-8. 끼미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163
1. 트라넥사믹산 내복 164
2. Kasai(홉西)식「보존 요법」 165
*「다닌다」라고 하는 것 171
* 보는것과 보이는것 171
3. 화학박피 173
* 화학박피의 역사 174
* 만쥬를 끊게 하는 것 174
4. 이온도입ㆍ초음파도입 175
* 이온 도입의 불가사의(1) 178
* 이온 도입의 불가사의(2) 179
5. 레이저 치료 179
6. 섬광램프(flashlight) 요법 180
* lPL 치료를 그만두어 버린 K선생님 181
* 기미의 IPL 치료는 강하게 쏘아야 한다? 182
7. 롱 펄스 레이저 치료 183 
8. 약한Q스위치 레이저 치료 183
9. 트레티노인 외용 184
* MASI에대해 185
10. 하이드로퀴논 외용 186
* 일본인의 피부는 하이드로퀴논으로 염증을 일으키기(독이 오르기) 쉬운가 187
* 필자가 반점의 치료에 하이드로퀴논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188
11. 트레티노인ㆍ하이드로퀴논 치료(TOKYO대학식) 189
12. 3자 혼합 외용약 189
* 3자 혼합 외용약에 대한 필자의 군소리 190
13. 오바지 NuDerm 시스템 190
14. 그 밖의 내복약 191
15. 그 밖의 외용약 191

5장 - PIH
5-A. PIH이란 어떤 반점인가 194
1. 염증성 색소침착(post-inflammatory hyperpigmentation, PIH)이란 194
2. PIH의 진단기준 195
3. PIH의 조직상 196
4. PIH의 임상상 196
* PIH와 기미 197
* 약제성 색소침착증 198
5-8. PIH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199
* 레이저 시술 후의 색소침착 200
1. 트라넥사믹산(tranexamic acid) 내복 201
2. 보존요법 202
* 썬탠을 피하는 것 203
3. 레이저 치료 203
4. 섬광램프(flashlight) 요법 204 
5. 화학박피ㆍ이온도입 205
6. 트레티노인 외용 205
7. 하이드로퀴논 외용 205
8. 실리콘 겔 시트 첨부 206


III 증례집 207

1. 41세 여성, 얼굴의 반점을 치료하고 싶어서 내원 209
2. 38세 여성 ,수년이 지나 기미가 심해져 내원 214
3. 53세 여성, 주름과 피부의 탄력을치료한후, 반점의 치료를 희망 219
4. 52세 여성, 반점이 증가한 것을 어떻게든 하고 싶어함 224
5. 21세 여성, 약 1년 전부터 반점이 신경쓰이게 됨 229
6. 65세 남성, 얼굴의 반점을 제거하고 싶어함 231
7. 56세 여성, 양측 협골부의 반점을 없애고 싶어함 236
8. 37세 남성, 2-3년 전부터 얼굴에 반점이 나타났다고함 241
9. 20세 여성, 4년 전부터 코에 반점이 생김 245
10. 38세 여성, 얼굴의 반점 치료를 희망 247
11. 30세 여성, 외상후의 협부의 검은반점 치료를희망 252
12. 48세 여성, 얼굴의 반점이 심해졌다며 내원 257
13. 52세 여성, 눈밑ㆍ코ㆍ협ㆍ관자놀이ㆍ전두부ㆍ상구순의 반점 치료를 희망 261
14. 36세 여성, 간반과 홍안 치료를 희망 266
15. 54세 여성, 오타모반 치료 후의 색소침착 치료를 희망 271

• 참고문헌 279
• 찾아보기 28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