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 Atlas와 사진으로 보는 개별 근육 촉진술!!
정확한 통증 유발점을, 찾거나, 선별적으로 근육을 신전시키거나, 강화시키기, 위해, 그리고 다른 근육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각 근육의 기전과 작용 및 표면해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런 의미에서 각 근육별로 사진과 함께 내용이 간결하고 쉽게 기술되어 있는 이 책은 근골격계 질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많은 전문의, 전공의 및 의대생들과 치료사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이다.
ID촉진술 - Individual Muscle Palpation
박근영 감수 / 978-89-90933-70-6 / 올컬러 / 208쪽 / 양장본
서문
1999년 3월에 三輪書店에서 『ID 스트레칭』을 출판했다. ID 스트레칭은 근긴장 저하나 관절가동범위 개선 등 일반적인 스트레칭법과 같은 목적을 가진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예상 외로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지고 있다. 이 스트레칭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칭 전에 긴장 항진 상태에 있는 근육 및 결합 조직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경감시켜 두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환자나 운동선수가 호소하는 통증 부위를 감별해서, 통증 억제나 스트레칭 등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치료자나 트레이너가 우선 기본적으로 각각의 근육을 확실히 촉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생각을 근거로 이 책을 작성하게 되었다.
또한, 연부 조직의 기능적 변화에 대한 치료를 위해서는, 단순히 근육 촉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 부위를 감별할 수 있는 촉진방법이 요구되어진다. 즉, 치료자는 환자나 선수가 호소한 것과 함께 촉진했을 때 생체로부터의 반응을 촉진손가락으로 감지하면서 치료해야 할 부위와 그 이외의 부위를 개별적으로(ID:individual) 구분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 책이 이러한 능력을 갖춘 촉진술을 습득하는 기초가 된다고 생각해 『ID 촉진술』이라고 명명했다.
이 책은, 생체 외부에서 촉진 가능한 거의 대부분의 근육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접하는 근육의 감별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또 실제로 촉진하고 있는 모습을 많이 게재하여 사진을 보는 것만으로도 근육 및 근육이 부착하는 뼈 landmark의 촉진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사진에서는 촉진 부위와 다른 부위와의 위치 관계가 명확하게 되도록, 양 엄지손가락 이외는 가능한 가려지도록 촬영하고 있는 점에 대해 양해를 구한다.
이 책에서는 근육 촉진의 중요한 포인트를 「촉진의 기본 사항」으로 하여, 가장 처음에 게재하였다. 근육 촉진이 능숙해지는 비결은 경험보다 해부학 기초지식의 축적에 있다. 근육 주행과 뼈·관절을 포함한 삼차원적 구조 등에 대해서, 실제 치료할 때 피부를 사이에 두고 상상하는 것을 염두에 두었으면 한다. 이 책에 의해서 근육 촉진이 더욱 확실해지고, 근육을 대표로 하는 기능적 변화에 대한 치료 효과가 향상되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작성하는 데 있어 모든 방면에서 협력해 주었던 三輪書店의 靑山 智씨, 浜田亮宏씨, 방대한 사진 촬영에 협력해 주셨던 카메라맨 酒井和彦씨, 모델 Izumi Rin양, 또 유마니테크 의료 전문학교의 Asai Yuji 선생님, 국립요양소 토쿄병원 부속 Rehabilitation학원 Nakayama Takashi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2005년 4월
Suzuki Shigeyuki
감수의 글
누구나 살아가면서 국소적이든 전신적이든 근육통을 한두 번 쯤은 경험하게 된다. 전신적인 근육통인 경우는 어떠한 질환의 증상 중 하나로 발현되는 경우가 많으며 부위도 모호하여 대체로 원인이 되는 질환을 밝혀내고 그에 따른 약물치료 등의 대증적 치료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상지, 하지 또는 체간 중 특정 부위의 국소적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의 경우는 호소하는 부위가 방사통이나 연관통 등의 이차적 통증 부위가 아니고 원발소인 경우 그 정확한 부위를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평소 근골격계 질환과 그에 따른 통증과 관련되어 내원하는 환자를 접하다보면 이런 국소적 통증 부위, 특히 그 부위가 근육인 경우 표면에 있는 근육이거나 큰 근육이 아니고서는 감별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평소 표면해부(surface anatomy) 또는 해부학적 기준점에 관심이 많았는데 각 근육만을 감별하여 소개하는 자료가 많지 않아 고심하던 차에 이번 이 『ID 촉진술』 책의 감수를 의뢰받고 반가운 마음에 공부하며 정리할 수 있었다. 정확한 통증유발점을 찾거나, 선별적으로 근육을 신전시키거나 강화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다른 근육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각 근육의 기전과 작용 및 표면해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 것은 필수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 의미에서 Suzuki 선생의 『ID 촉진술』은 근골격계 질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많은 전문의, 전공의 및 의대생들과 치료사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각 근육별로 사진과 함께 내용이 간결하고 쉽게 기술되어 있어 이해하는 데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여겨지나 감수하면서 용어 등의 측면에서 아쉬움은 남는다. 모쪼록 이 책이 관심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 근육의 표면해부와 근육과 관련된 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이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감수하는 데 도움을 준 (주)신흥메드싸이언스 출판사 관계자 여러분에게 감사를 드린다.
2007. 12. 24.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재활의학과 박근영
(Geun Young Park, MD, PhD)
목차
♧ 서문 v
♧ 역자서문 vi
♧ 촉진의 기본 사항 xi
■ 체간·상지
1. 장늑근·iliocostalis muscle 2
2. 최장근·longissimus muscle 4
3. 다열근·multifidus muscle 6
4.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muscle 8
5. 전거근·serratus anterior muscle 10
6. 외복사근·obliquus externus abdominis muscle 12
7. 복직근·rectus abdominis muscle 14
8. 승모근 상부·superior part of trapezius muscle 16
9. 승모근 중부·median part of trapezius muscle 18
10. 승모근 하부·inferior part of trapezius muscle 20
11. 두반극근·semispinalis capitis muscle 22
12.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muscle 24
13. 견갑거근·levator scapulae muscle 26
14.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28
15. 전사각근·scalenus anterior muscle 30
16. 중사각근·scalenus medius muscle 32
17. 후사각근·scalenus posterior muscle 34
18. 대능형근·greater rhomboid muscle 36
19. 소능형근·rhomboid minor muscle 38
20. 상후거근·serratus posterior superior muscle 40
21. 대흉근 쇄골부·clavicular part of pectoralis major muscle 42
22. 대흉근 흉늑부·sternocostal part of pectoralis major muscle 44
23. 대흉근 복부·abdominal part of pectoralis major muscle 46
24. 소흉근·pectoralis minor muscle 48
25. 삼각근 쇄골부·clavicular part of triangular muscle 50
26. 삼각근 견봉부·acromial part of triangular muscle 52
27. 삼각근 견갑극부·spine of scapula fo deltoid muscle 54
28. 극상근·supraspinatus muscle 56
29. 극하근·infraspinatus muscle 58
30. 소원근·teres minor muscle 60
31. 대원근·teres major muscle 62
32. 광배근·latissimus dorsi muscle 64
33. 견갑하근·subscapularis muscle 66
34. 상완삼두근·triceps brachii muscle 68
35.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 muscle 70
36. 오훼완근·coracobrachialis muscle 72
37. 상완근·brachialis muscle 74
38. 완요골근·brachioradialis muscle 76
39. 장요측수근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muscle 78
40. 단요측수근신근·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muscle 80
41. 척측수근신근·extensor carpi ulnaris muscle 82
42. 주근·anconeus muscle 84
43. 회외근·supinator muscle 86
44. 총지신근·extensor digitorum muscle 88
45. 장무지신근·extensor pollicis longus muscle 90
46. 단무지신근·extensor pollicis brevis muscle 92
47. 장무지외전근·abductor pollicis longus muscle 94
48. 시지신근·extensor indicis muscle 96
49. 소지신근·extensor digiti minimi muscle 98
50. 원회내근·pronator teres muscle 100
51. 요측수근굴근·fiexor carpi radialis muscle 102
52. 장장근·palmaris longus muscle 104
53. 척측수근굴근·flexor carpi ulnaris muscle 106
54. 천지굴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uscle 108
55. 심지굴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muscle 110
56. 장무지굴근·flexor pollicis longus muscle 112
■ 하지
57. 장골근·iliacus muscle 116
58. 대요근·psoas major muscle 118
59. 대둔근·gluteus maximus muscle 120
60. 중둔근·gluteus medius muscle 122
61.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 muscle 124
62. 봉공근·sartorius muscle 126
63. 치골근·pectineus muscle 128
64. 장내전근·adductor longus muscle 130
65. 단내전근·adductor brevis muscle 132
66. 대내전근·adductor magnus muscle 134
67. 박근·gracilis muscle 136
68. 이상근·piriform muscle 138
69. 외폐쇄근·obturator externus muscle 140
70. 내폐쇄근·obturator internus muscle 140
71. 상쌍자근·superior gemellus muscle 140
72. 하쌍자근·inferior gemellus muscle 140
73. 대퇴방형근·quadratus femoris muscle 142
74. 대퇴직근·rectus femoris muscle 144
75. 내측광근·vastus medialis muscle 146
76.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muscle 148
77. 반건양근·semitendinous muscle 150
78. 반막상근·semimembranous muscle 152
79.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 muscle 154
80. 비복근 외측두·lateral head of gastrocnemial muscle 156
81. 비복근 내측두·medial head of gastrocnemial muscle 158
82. 가자미근·soleus muscle 160
83. 슬와근·popliteus muscle 162
84. 족저근·plantar muscle 164
85.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muscle 166
86. 장지신근·extensor digitorum longus muscle 168
87. 장무지신근·extensor hallucis longus muscle 170
88. 장비골근·peroneus longus muscle 172
89. 단비골근·peroneus brevis muscle 174
90. 장지굴근·flexor digitorum longus muscle 176
91. 장무지굴근·flexor hallucis longus muscle 178
92. 후경골근·posterior tibial muscle 180
93. 단지신근·extensor digitorum brevis muscle 182
94. 단무지신근·extensor hallucis brevis muscle 184
95. 제삼비골근·peroneus tertius muscle 186
96. 단무지굴근·flexor hallucis brevis muscle 188
♧ 한글 찾아보기 191
♧ 영문 찾아보기 194
'임상각과 > 통증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Nab's Backache, 4/e (0) | 2010.07.09 |
---|---|
Landmarks for Peripheral Nerve Blocks: Upper and Lower Extremities, 2/e (0) | 2010.07.09 |
Essentials of Neuroanesthesia and Neurointensive Care (0) | 2010.07.09 |
프로로테라피를 이용한 인대와 건의 이완에 대한 치료 (0) | 2010.07.09 |
통증치료를 위한 통증 유발점과 유발기전의 이해 (0) | 2010.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