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SBN: 9788989892670
- 저자: Florence Peterson Kendall 지음, 한국통합의학연구소 옮김
- 출판사: 한미의학
- 발행언어: 한국어
- 도서명: 자세와 통증치료에 있어서 근육의 기능과 검사 5판
- 원제: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 도서형태: 단행본
<책소개>
물리치료 분야의 치료기법과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점차 치료중심에서 인간중심으로, 국소적인 시각에서 전인적인 시각으 로 바뀌어가고 있다. 또한 정적인 치료에서 동적인 치료 형태로 전환되어가고 있는 변화의 시기이기도 하다. 인간은 신체와 정신, 그리고 영혼이 동시에 공존하는 체계이다.
신체는 근육과 신경, 그리고 골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리치료 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핵심적인 치료부분은 근육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서는 근육의 기능해부학적 측면에서 구조와 기능간의 역학 구조와 체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관련 정보와 자료를 제 공하는 알차고 귀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임상에서 환자 치료시 치료기법을 선택할 수 있는 안내자 및 다양한 상황에서의 적용과 응용, 그리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근육 작용의 이론적 개념과 운동성과 기능성에 관한 세밀한 내용과 설명, 운동성 제한의 양상과 임상적 영향에 대 한 구체적인 사항들이 포함되어 학습자에게 많은 학술자료로서의 지침이 될 수 있다.
물리치료, 작업치료뿐만 아니라 언어치료, 예술치료(미술치료, 음악치료, 무용치료 등), 그리고 의료보장구, 운동처방, 대 체의학 분야에서도 치료에 훌륭한 길잡이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자 치료에 여러 다른 견해들과 치료기법들을 적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관련 분야 전문가들에게 근육의 기능과 기 능에 영향을 주는 체계에 관한 것을 심도있고 포괄적으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목차>
머리말
서문
감사의글
1 기본개념
개요
2 자세
개요
Ⅰ부:자세의 기본
Ⅱ부:자세정렬
Ⅲ부:자세검사
Ⅳ부:어린이의 자세
Ⅴ부:척추측만증
운동교정
참고문헌
3 두부와 안면
개요
Ⅰ부:신경지배
Ⅱ부:안면과 눈의 근육
Ⅲ부:안면마비
Ⅳ부:연하작용에 관여하는 근육
참고문헌
4 경부
개요
Ⅰ부:신경지배와 운동
Ⅱ부:목의 근육들
Ⅲ부:목의 근육들에 대한 검사
Ⅳ부:통증을 유발하는 상태
Ⅴ부:치료
참고문헌
5 체간과 호흡기근육
개요
Ⅰ부:체간
Ⅱ부:복근
Ⅲ부:허리에 통증이 있는 상태
Ⅳ부:호흡근
운동교정
참고문헌
6 상지와 견갑대
Ⅰ부:신경지배
Ⅱ부:손,손목,전완,그리고 팔꿈치관절
Ⅲ부:어깨
Ⅳ부:등 상부와 팔의 통증
Ⅴ부:임상증례
운동
참고문헌
7 하지
개요
Ⅰ부:신경지배
Ⅱ부:관절운동
Ⅲ부:근력검사
Ⅳ부:통증성 상황
운동차트
참고문헌
부록A
부록B
용어사전
색인
<저자소개>
Kendall, Florence Peterson (EDT)/ McCreary, Elizabeth Kendall/ Provance, Patricia Geise/ Rodgers, Mary M./ Romani, William Anthony [저]
한국통합의학연구소 [역]
MYO THERAPY (마요 테라피) : 마사지/근육이완술 개정판
얀다(Janda)의 근육 불균형의 평가와 치료: 얀다의 접근법
뉴만 Kinesiology: 근육뼈대계통의 기능해부학 및 운동학 제3판
근막경선 해부학: 자세 분석 및 치료 제3판 (Anatomy Trains)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보건 > 물리 작업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O THERAPY (마요 테라피) : 마사지/근육이완술 개정판 (0) | 2020.05.21 |
---|---|
얀다(Janda)의 근육 불균형의 평가와 치료: 얀다의 접근법 (0) | 2020.05.21 |
질환별 관리 2: 부위 질환별 수기치료 및 경락마사지 테크닉 (0) | 2020.05.19 |
Mosby's Fundamentals of Therapeutic Massage,4/e (0) | 2010.07.09 |
Mosby's Essential Sciences for Therapeutic Massage:Anatomy,Physiology,Biomechanics and Pathology,3/e (0) | 2010.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