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각과/소아청소년과10 신생아 진료 신생아 진료의 필독 기본서!! 이 서적은 실제 임상에서 접하는 신생아 치료 및 관리의 전반적인 것에 대한 자세한 지침과 설명이 담겨져 있다. 따라서 실제 환아를 돌보는 데 있어 매우 유익한 정보가 될 것이다. 신생아에 관심 있는 청년의학도, NICU를 지키고 있는 간호사, 전공의, 전문의들에게 신생아 질병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신생아 진료 배종우, 김민희 옮김 / 978-89-90933-68-3 / 418쪽 / 양장본 ♧ 역자서문 한국에서 신생아학 발전의 변천을 살펴보면, 1950년대에 항생제와 산소가 도입되고, 1960년대에 신생아실이 개설되어 신생아를 독자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또 1970년대에는 보육기 설치와 미숙아실(조산아실) 개설로 미숙아를 신생아에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 2010. 6. 22. 신생아 만성 폐질환의 진료지침 신생아 만성 폐질환 치료의 가이드라인!! 현재의 신생아 임상의학이 도달한 최신의 성과를 현장 임상에 반영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였으며, 근거중심의 의학을 중시하여 각 테마에 관한 기존 연구를 계통적으로 검색해 내용이 객관적이다. '신생아 만성 폐질환'에 대한 현재의 임상 수준을 소개함과 함께 그 성과를 임상에 반영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신생아 만성 폐질환의 진료지침 김민희 옮김 / 89-90933-52-8 / 176쪽 / 페이퍼백 ♧ 서문 신생아 만성 폐질환(Chronic Lung Disease/CLD)은 동질의 질병이 아니다. 의학이 발전하며 다양했던 CLD의 진단과 치료도 새롭게 정립되고 있다. 의학의 발달로 우리나라의 사회적 성육한계도 이미 임신재태28주, 출생체중 1,000g을 받아들.. 2010. 6. 22. 소아 이비인후과 진료 이비인후과 관련 소아 특유 질환 치료의 Practice!! 최신 진료 기술 및 그에 필요한 의료 기구까지 명시함으로써 일상 진료에 즉시 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이과학, 비과학, 두경부 종양학의 세 분야를 중심으로 컬러 그림과 도표를 충분히 수록하여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게다가 'ONE POINT ADVISE', 'TOPICS', '이비인후과와 관련된 증후군'까지 제공함으로써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소아 이비인후과 진료 김규성 옮김 / 89-90933-49-8 / 올컬러 / 400쪽 / 양장본 ♧ 서문 소아의 이비인후과 질환은 급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 등 급성 염증을 시작으로 알레르기 질환, 부비동염 등이 전체의 60%를 차지합니다. 이러한 질환을 치.. 2010. 6. 22. 소아 소화기학 소화기계 질환의 환아를 위한 최신 치료 정보 수록!! 이 책은 소화기 간장 전문의 외에도 소아과의, 연수의를 대상으로 외래, 병동 등 임상의 현장에서 소화기계 질환의 환아에게 정확하고 확실한 진단, 치료방침을 내리는 것을 돕기 위해 최신 정보를 정리한 참고서라고 할 수 있다. 소아에게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환의 개념을 설명하고 병인과 병태, 진단, 치료 그리고 예후를 다양한 영상 소견과 도표를 통해 세밀하게 언급하였다. 소아 소화기학 서정기 감역 / 89-90933-30-7 / 올컬러 / 296쪽 / 양장본 ♧ 서문 유아 설사증 등의 소화기 질환은, 호흡기 질환과 함께 일상적인 소아진료로 자주 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소아과의가 그 진료에 숙달해 있으나, 유아 설사증 이외에도 소아의 소화기ㆍ간장 질환.. 2010. 6. 22. 소아 비만증 클리닉 소아 비만증 진단과 치료의 모든 것! 서양의학의 최신 과학 지식을 기초로 하여 일본비만학계의 경험과 자료가 첨부되어, 소아비만 진단과 치료에 아주 좋은 자료집이다. 특히 소아 비만의 원인, 진단방법을 알기 쉽게 서술하였고, 치료방법도 식사 용법이나 운동 요법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소아비만을 관리하는 의료인들, 과체중 자녀를 둔 부모님, 또는 일반인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소아 비만증 클리닉 서병규 옮김 / 978-89-90933-62-1 / 168쪽 / 양장본 ♧ 서문 최근 사회적ㆍ경제적 여건이 좋아지고 식생활 습관이 서구화되면서 비만, 당노병, 고혈압 그리고 관상동맥 질환과 같은 성인병의 발생 빈도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더군다나 이런 성인병의 대부분은 이미 소아기부터 진행되는 것으.. 2010. 6. 2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