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신생아 진료의 필독 기본서!!
이 서적은 실제 임상에서 접하는 신생아 치료 및 관리의 전반적인 것에 대한 자세한 지침과 설명이 담겨져 있다. 따라서 실제 환아를 돌보는 데 있어 매우 유익한 정보가 될 것이다. 신생아에 관심 있는 청년의학도, NICU를 지키고 있는 간호사, 전공의, 전문의들에게 신생아 질병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배종우, 김민희 옮김 / 978-89-90933-68-3 / 418쪽 / 양장본
♧ 역자서문
한국에서 신생아학 발전의 변천을 살펴보면, 1950년대에 항생제와 산소가 도입되고, 1960년대에 신생아실이 개설되어 신생아를 독자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또 1970년대에는 보육기 설치와 미숙아실(조산아실) 개설로 미숙아를 신생아에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하였고, 1980년대에 이르러 비로소 NICU가 개설되어 고위험신생아 및 미숙아에 대한 인공호흡기 치료를 포함한 NICU 관리를 시작하여 명실 공히 신생아 집중치료의 시대가 열렸었다. 이후 1990년대에는 RDS 환아에 대한 인공 폐 표면활성제 치료를 비롯한 특수 치료법이 한국에 소개되어 보편화되었고, 고빈도 인공환기요법 등 보다 발전된 의료를 제공하게 되었다. 2000년대에는 미숙아 신생아 관리를 위한 각종 제도적 받침이 마련되는 가운데 활발한 학회 활동 및 지역화의 개념이 도입되고 iNO치료 등 보다 발전된 치료법의 적용이 활발하게 되었다. 즉 한국에서 신생아 집중치료의 역사는 불과 약 30년 정도이지만, 그 동안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어 신생아 미숙아 생존율이 개선되어 한국의 신생아 사망률 및 영아 사망률의 보건 의료 지표 향상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발전의 근본에는 장비·기술·약제 등의 발전과 더불어 신생아학의 학문적 도약이 자리 잡고 있다. 학문적 접근의 방법도 많이 발전되어, 매일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실제 우리들이 신생아를 관리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서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 지침을 제공해주는 여러 서적들이 있다. 이 여러 책들 중에서 이번에 번역의 기회를 가지게 된 일본 Nishida 교수의 역저 『신생아학 입문(新生兒學入門)』도 우리에게 매우 유익한 여러 정보와 지침을 제공해줄 수 있는 서적으로 판단되었다. 그래서 공동 역자 김민희 교수와 함께 『신생아 진료』라는 책명으로 번역하여, 여러분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이 서적의 내용은 실제 임상에서 우리들이 접하는 신생아 치료 및 관리의 전반적인 것에 대한 자세한 지침과 설명이 담겨져 있다. 따라서 본 역서가 여러분의 곁에서 실제 환아를 돌보는 데 있어 매우 유익한 정보가 될 것이다.
Nishida 교수의 업적이나 학문적 위치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다. 그간 한국 신생아학 분야와 많은 교류를 통해 많은 가르침을 전해주신 분이다. 이 분의 저서를 번역하여 소개하게 된 것 또한 영광으로 생각한다. 이 책의 학문적인 내용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이 책을 번역하면서 느낀 저자 Nishida 교수의 사랑과 마음(heart)을 아기에게 제공하는 케어를 강조하는 점에 다시 한 번 존경심을 가진다.
번역을 허락하신 Nishida 교수, 번역의 기회를 열어준 공동역자 김민희 교수, 출판에 도움을 주신 홍성철 부장에게 감사를 드리고, 아울러 김정기 내조자, 이영·이원·용한 3명의 아이들로 구성된 가족들의 성원에 감사드린다.
배 종 우
배종우교수 약력
〈학력〉
● 1978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1988년 경희대학교 의학박사 취득
〈경력〉
● 경희의대부속병원 소아과 과장 역임
● 대한소아과학회 보수교육위원회, 영양위원회, 간행위원회, 고시위원회 위원 역임
● 대한소아과학회 서울지회 부회장 역임
● 대한신생아학회 총무이사, 학술이사 역임
● 대한주산의학회 이사, 재정이사, 심사이사 역임
● 대한의학회 수련교육위원회, 임상의학위원회 위원 역임
● (현) 국시원 위원
● (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상근심사위원
● (현) 대한소아과학회 간행이사, 평의원
● (현) 대한신생아학회 대외협력이사
● (현) 대한주산의학회 발전위원장
● (현) 대한의학회, 대한의사협회 간행위원
● (현) 대한의사협회지, Korean J Medical Science 편집위원
● (현) 대한의학한림원 정회원
● (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 교수
● (현)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소아과 과장, 진료부장, 모자보건센터장
〈저서〉
● 1993년 『Pulmonary surfactant:기초와 임상』
● 2004년 『그림과 표로 보는 신생아학』
〈학술활동〉
● 국제학회 발표: 25편
● 논문발표: 250편
일생에서 훌륭한 스승을 만나는 것처럼 큰 행복은 없을 것이다. 전공의 과정을 마치고 교직에 들어가 신생아학에 꿈을 둔 이래, 여러 선생님들에게 배우고 은혜를 입었으나 깊고 지속적인 학록(學錄)은 맺지 못하였고 때때로 질문을 드렸으나 흡족한 응답은 들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주로 혼자 고독하게 책을 읽으며 신생아학에 입문을 하였다.
역자가 Nishida 교수님과의 첫 만남은 1996년 워싱턴에서 열린 「Hot Topics in Neonatology」에 참가했다가, ‘600g 미만의 일본에서의 경험’이란 주제의 발표를 듣고 인사를 나누었을 때이다. 그 후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한 초미숙아의 진료에 어려움을 느껴 참고문헌을 찾던 중 Nishida 선생님의 초미숙아 책을 보고 일본에서도 유일한 초미숙아 전문서적으로서, 동경여자의대 모자센타의 20년 축적된 노하우를 한번에 얻게 되는 좋은 기회라는 것을 알게 되어 한국어판을 재작년에 내면서부터 서로 잘 알고 지내게 되었다.
지난 5월, 선생님이 서울에서 열린 한 심포지엄에 초청인사로 한국에 왔을 때 만날 기회가 있어서 신생아에 대한 독특한 그분만의 철학과 취미인 실크로드 마라톤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하였다. 그때 『신생아학 입문(新生兒學入門)』을 말씀 하시며 한국어판을 만들어 볼 것을 권유하였다. 그 후 제작 과정에 들어간 8개월 동안은 지겨운 교정과정도 있었지만, 그동안 의학도로서 궁금했던 출생 시 각장기의 적응과정과 질병의 병태생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으로 그것들을 더 이해하게 되었으며, 오랜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서술을 통하여 신생아 질병에 대한 경중 완급의 전반적인 큰 윤곽을 잡아주었으며, 환아들을 돌보면서 가졌던 오랜 질문의 답들을 책안에서 찾을 수가 있었다. 또한 삶에 대한 열정과 서두르지 않고 항상 여유 있는 표정과 마음으로 인생을 즐기는 듯한 그분만의 철학과 모습을 느낄 수 있어서, 읽을수록 정겹고 맑은 샘처럼 즐거움이 솟았다. 비록 국적은 다르고 만난 기간은 짧았지만 책을 통해 큰 가르침을 주는 스승을 만나게 됐다는 행복감을 느끼게 되었고, 일본의 베스트셀러 책을 국내에 소개하게 하는 행운도 갖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일본 신생아학의 대표적 1세대인 동경여자의과대학 교수이며 모자종합의료센타 소장인 Nishida Hiroshi(仁志田 博司) 선생님의 역작으로서 신생아에 관심 있는 청년의학도, NICU를 지키고 있는 간호사, 전공의, 전문의들에게 신생아 질병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줄 것이며, 태어난 아이가 예기치 못하게 신생아실에 입원하여 충격에 빠져있는 부모, 친척들에게도 희망과 용기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그림과 표로 보는 신생아학』을 함께 제작·출판 하면서 교육자의 방향을 가르쳐주신 배종우 교수님과 같이 책을 만들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일본 의학서원(醫學書院) 출판사 관계자와 신흥메드싸이언스의 홍성철 부장에게 감사드리며, 소아과 의사의 갈 길을 보여주신 어머니 박옥신(朴玉信) 여사에게 이 책을 바칩니다.
● 1981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1991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학위 취득
● 대한소아과학회의학용어, 법제교육위원 역임
● 대한신생아학회 간행위원, 법사위원 역임
● 대한신생아학회 서울경인지역 총무이사 역임
● 대한신생아학회 조사통계위원회 위원장 역임
● 대한주산의학회 심사위원, 학술위원, 재정이사 역임
●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 주임교수 역임
● 건국대학교병원 교육연구부장, 진료부장, 진료부원장 역임
● (현)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 교수
● (현) 건국대학교병원 소아과 과장
● (현) 대한소아과학회 평의원
● (현) 대한신생아학회 운영위원
● (현) 대한의학회지,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심사위원
● (현) 대한주산의학회 간행위원장
● 2004년 『그림과 표로 보는 신생아학』
● 2006년 『신생아 만성 폐질환의 진료지침』
● 2007년 『초미숙아-초저출생 체중아의 관리지침』
서문 IV
역자서문 VI
01. 신생아학 총론
A. 일본 신생아학의 과거·현재·미래 1
B. 신생아 의료에 관한 용어 4
C. 신생아의 의학적 특징 9
D. 신생아 의료의 특징 13
E. 신생아 의료의 원칙과 기본 16
F. 신생아 의료에 필요한 산과학적 지식 18
02. 발육·발달과 그 평가
A. 태아·신생아의 발육 26
B. 태아·신생아의 발달 31
C. 재태 주수의 추측법 38
D. 재태별 출생 시 체격기준곡선과 이용법 41
03. 신생아의 진단법
A. 신생아의 진찰법 48
B. 신생아에게 특징적인 소견 53
C. 주요 이상소견과 진단학적 접근 61
D. 검사법과 판독 72
E. 모체·태아 정보의 판독 77
04. 신생아 관리
A. 분만실에서 신생아실까지의 관리 83
B. 정상신생아 관리 84
C. 고위험 신생아 관리 90
D. NICU 입원아 관리 93
E. 신생아 모니터링 98
F. 개별 발달촉진 케어 104
05. 가족의 도움
A. 출산 전 소아 보건지도 111
B. 엄마에 대한 보건지도 113
C. 질병아 가족에 대한 도움 118
D. 예후 불량의 아이나 아이를 잃은 가족에의 도움 121
06. 모자 상호작용
A. 모자 상호작용의 과학적 배경 125
B. 모자관계 확립의 단계 128
C. 모자관계 확립을 위한 임상 130
D. 깨어진 모자관계에 의한 임상적 문제 133
E. 엄마와 아이의 유대와 육아 134
F. 상냥한 마음을 키우는 의료 135
07. 의료사고와 의원성(醫原惺) 질환
A. 신생아의 의원성 질환 139
B. 의료사고의 원인과 배경 140
C. 의료사고의 원인에 의한 분류 141
D. 의료사고 발생 시의 대응 142
E. 의료사고 발생의 예방 145
08. 신생아 의료와 의료 윤리
A. 신생아 의료의 윤리 문제의 특징 148
B. 윤리적 관점에서 의학적 의지 결정 149
C. 윤리적 관점에서 의료 방침 결정이 이루어진 사례 150
D. 생육(성육)한계를 둘러싼 윤리 152
E. 의료 윤리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 155
09. 체온 조절과 보온
A. 신생아의 체온 조절 157
B. 보온과 그 목적 160
C. 보온의 임상 162
D. 체온의 이상 166
10. 영양의 기초와 임상
A. 신생아 영양의 특징과 문제점 168
B. 영양과 발육·발달 170
C. 신생아에게 필요한 영양의 양 174
D. 정상신생아에 있어서의 영양법 175
E. 저출생체중아에 있어서의 영양법 176
F. 모유 영양법 179
11. 수분-전해질 밸런스
A. 신생아에 있어서의 수분-전해질 밸런스의 특징 185
B. 신생아 신장 기능의 발달과 특징 187
C. 수분-전해질 관리의 실제 190
D. 칼슘과 인의 밸런스 193
12. 내분비계·대사계의 이상(異常)과 관리
A. 신생아의 내분비 기능과 이상 199
B. 선천성 대사이상에 따른 질환 205
C. 신생아에서 나타나는 선천성 대사이상 210
D. 신생아의 당대사와 혈당 관리 213
E. 신생아의 약물 대사 217
13. 호흡기계의 생리와 임상
A. 출생 직후의 적응 생리와 소생 222
B. 신생아의 호흡생리와 특징 228
C. 폐 표면활성제와 호흡곤란 증후군 237
D. 폐수의 동태와 일과성 다호흡증 244
E. 신생아 만성 폐질환의 병태 248
F. 신생아 호흡 장애의 일반적 관리 251
G. 보조 호흡법의 진보 259
14. 순환기계의 기초와 임상
A. 신생아의 순환 생리 272
B. 신생아에 나타나는 심질환의 병태생리 287
15. 황달의 기초와 임상
A. 황달의 기초 291
B. 황달의 병태 294
C. 황달의 임상 299
16. 혈액계의 병태와 임상
A. 신생아의 혈액계의 특징 306
B. 혈액계의 발달 생리 306
C. 다혈증 310
D. 빈혈 311
E. 신생아 멜레나와 비타민 K 312
F. 혈소판감소증 313
G. 출혈성 질환 315
H. 신생아에 있어서의 수혈 315
I. 혈액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 요법 317
17. 면역계와 감염
A. 신생아 면역의 특징 320
B. 신생아 감염증의 특징 323
C. 감염 경로와 그 특징 325
D. 신생아의 패혈증·수막염의 병태 333
E. 사이토카인의 역할과 그것이 가져오는 질환 336
F. 그 밖의 신생아 특유의 감염증 339
18. 중추신경계의 장애와 임상
A. 신생아의 신경학적 장애의 개요 344
B. 중추신경계 장애의 발달 생리학적 배경 345
C. 미숙아의 뇌실내 출혈 347
D.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 351
E.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 359
19. 선천이상과 전이
A. 유전학의 기본적 지식 364
B. 분자생물학의 기초적 지식 369
C. 유전 상담 373
D. 기형과 기형증후군 375
E. 기형 발생을 이해하기 위한 발생학 376
20. 주요 질환의 병태와 관리
A. 모체 당뇨병아 382
B. 태내발육지연아 387
C. 초저출생체중아 392
D. 미숙 망막증 396
E. 유아돌연사증후군 401
찾아보기 407
'임상각과 > 소아청소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xi-Comp's Pediatric Dosage Handbook: Including Neonatal Dosing, Drug Administration, & Extemporaneous Preparations,15/e (0) | 2010.06.22 |
---|---|
초미숙아 - 초저출생 체중아의 관리 지침 (0) | 2010.06.22 |
신생아 만성 폐질환의 진료지침 (0) | 2010.06.22 |
소아 이비인후과 진료 (0) | 2010.06.22 |
소아 소화기학 (0) | 2010.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