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학서적, 간호, 건강, 육아, 유아, 세상 모든 도서
임상각과/소아청소년과

초미숙아 - 초저출생 체중아의 관리 지침

by TiStOrY티스토리 2010. 6. 22.


   

 

초미숙아 관련 국내 최초의 전문 서적!

 

 

동경여자의과대학 모자 종합의료센터 NICU에 있어서의 지금까지의 10년간의 미숙아 의료의 노하우를 집계한 것으로, 간략하게 정리되어 문제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준다. 미숙아에 관심 있는 의학도, NICU를 지키고 있는 간호사, 전공의, 전문의들에게 급변하는 초미숙아 치료를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지름길을 보여줄 것이다.

 

초미숙아 - 초저출생 체중아의 관리 지침

김민희 옮김 / 89-90933-55-2 / 288쪽 / 양장본

 

서문

 

 이 책은 번역서이기는 하지만 미숙아에 관심 있는 청년 의학도, NICU를 지키고 있는 간호사, 전공의, 전문의들에게 급변하는 초미숙아 치료를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지름길을 보여줄 것이며, 충격에 빠져 있는 초미숙아의 부모, 친척들에게도 두려움을 떨쳐버리고 희망과 용기를 불어넣어 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개정 3판에 부쳐
역자 서문
 Ⅰ초저출생 체중아의 기본 관리
1. 초저출생 체중아의 의학적 중요성
2. 초저출생 체중아 관리의 원칙
3. 초저출생 체중아 의료의 윤리적 대응
4. 초저출생 체중아의 출생 전 관리
5. 초저출생 체중아의 출생 시 관리

 Ⅱ초저출생 체중아의 급성기 관리
1. 일반 관리
2. 호흡기계의 이상과 관리
3. 순환기계의 이상과 관리
4. 중추신경계 이상과 관리
5. 소화기계의 이상과 관리
6. 혈액계의 이상과 관리
7. 감염증의 관리
8. 신생아 TSS형 발진증(NTED)의 관리
9. 미숙아 망막증(ROP)의 관리
10. 고도의 IUGR초저출생 체중아의 문제점과 관리

 Ⅲ초저출생 체중아의 만성기 관리
1. 호흡 관리
2. 순환 관리
3. 영양 관리
4. 스테로이드 요법
5. 퇴원 전 검사
6. 중증 RSV 감염의 예방

 Ⅳ장기 follow-up과 예후
1. follow-up 체제
2. 초저출생 체중아의 follow-up과 예후
3. 초저출생 체중아의 데이터

 Ⅴ초저출생 체중아의 간호
1. 초저출생 체중아의 간호
2. 장기 입원아와 가족의 케어
3. 개별적 발달촉진 케어(developmental care)의 개념
4. NICU 환경의 정비
5. 캥거루 케어의 실제
6. 발달촉진 케어의 positioning과 감각운동 경험의 실제

 찾아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