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만성 폐질환 치료의 가이드라인!!
현재의 신생아 임상의학이 도달한 최신의 성과를 현장 임상에 반영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였으며, 근거중심의 의학을 중시하여 각 테마에 관한 기존 연구를 계통적으로 검색해 내용이 객관적이다. '신생아 만성 폐질환'에 대한 현재의 임상 수준을 소개함과 함께 그 성과를 임상에 반영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김민희 옮김 / 89-90933-52-8 / 176쪽 / 페이퍼백
♧ 서문
신생아 만성 폐질환(Chronic Lung Disease/CLD)은 동질의 질병이 아니다. 의학이 발전하며 다양했던 CLD의 진단과 치료도 새롭게 정립되고 있다.
의학의 발달로 우리나라의 사회적 성육한계도 이미 임신재태28주, 출생체중 1,000g을 받아들이고 있는 시대로 들어서서 초극소 미숙아의 출생이 늘고 CLD의 이환률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규모가 크지 않은 신생아실에서 근무하고, 예전에 공부를 하여서 다양한 경우를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도 많다.
이 책은 CLD의 중증도를 줄이는 예방을 염두에 둔 치료법과 Evidence-Baced medicine의 검증되고 안전하고 유용한 CLD 치료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도 CLD라는 질병의 진료지침은 진화를 거듭할 것으로 생각된다. 미숙의 생명을 현장에서 지키는 여러 의료계 종사자들이 이 책을 통하여 CLD를 좀더 쉽게 이해하고 도움을 얻었으면 한다.
♧ 서문
발간에 부쳐
역자 서문
Ⅰ. 신생아 만성 폐질환과 환자·가족·의료·사회
⑴ 저출생체중아의 만성 폐질환
Ⅱ. 신생아 만성 폐질환의 정의와 진단
⑴ 만성폐질환의 호흡 장애
⑵ 만성폐질환의 병태 분류
Ⅲ. 호흡관리(급성기·만성기)
⑴ 계면활성제 보충 요법
⑵ 산소요법
⑶ 인공환기요법의 일반적 주의사항
⑷ 간헐적 양압 인공환기요법
⑸ 흡기동조 인공합기요법
⑹ 고빈도 진동 인공환기요법
⑺ 발관기준과 발관전후의 처지
Ⅳ. 그 밖의 관리(급성기·만성기)
⑴ 수분·영양 관리와 발육
⑵ 만성기의 감영증 대책
⑶ 폐고혈압(PH)의 평가법과 관리
Ⅴ. 약물요법
⑴ 약물요법
⑵ 흡입요법
Ⅵ. 모니터링·검사
⑴ 폐기능 검사와 만성 폐질환의 관리
⑵ 펄스 옥시미터의 활용법
Ⅶ. 외래관리
⑴ 만성 폐질환(CLD)환아의 외래관리
⑵ 재택 산소요법
Ⅷ. 신생아 만성 폐질환의 전국조사 결과
'임상각과 > 소아청소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미숙아 - 초저출생 체중아의 관리 지침 (0) | 2010.06.22 |
---|---|
신생아 진료 (0) | 2010.06.22 |
소아 이비인후과 진료 (0) | 2010.06.22 |
소아 소화기학 (0) | 2010.06.22 |
소아 비만증 클리닉 (0) | 2010.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