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학서적, 간호, 건강, 육아, 유아, 세상 모든 도서
내과/일반내과

SPEED UP 내과 (2Vols)

by TiStOrY티스토리 2010. 6. 22.

 

 

 이 책은 KMLE에 자주 출제되는 내용과 기본 항목 그리고 문제 형식을 의대 족보처럼 정리한 후, 꼭 알아야 하는 내용만 간추려서 기술하고 있다. 기출문제분석과 Key Point, 이해하기 쉬운 그림, 일목요연한 도표로 구성되어 있어 짧은 시간에 전체적인 내용 정리를 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SPEED UP 내과 (2Vols)

김경원 지음 / (set) 89-90933-36-6 / 페이퍼백

 VOL.1 순환기학, 호흡기학, 소화기학, 혈액학, 종양학 - 536p

 VOL.2 신장학, 내분비학, 감염학, 류마티스학, 알레르기학 - 404p

 

서문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는 저의 개인적인 경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KMA를 준비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부족한 시간 속에서 공부해야 하므로 최대한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제 경우도 마찬가지로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많은 시간을 확보하지 못한 채 약 2개월 동안만 KMA를 공부하고 시험을 보아야 했습니다. 따라서 여러 가지 관련 서적을 접할 여유도 없이 단지 기출문제만 풀었습니다. 최근 수년간의 기출문제를 풀면서 유형이나 빈출 내용을 분석하고 꼭 알아야 할 사항들만 정리해서 공부하였으며, 그 결과는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그런데 기출문제를 풀다보니 문제들의 지문이나 형식은 다르지만 결국 똑같은 내용이 반복되어 출제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핵심 사항들만 간추려 정리한 후 시험 준비 막바지에 다시 한번 검토하는 것이 매우 효율적이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시험공부 방법입니다. 이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기출문제 분석과 내용 정리 습관을 살려 KMA가 끝난 후인 공중보건의 시절에도 실천함으로써 계쏙 첨부하고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정리 노트를 꾸미면서 공부를 하여 USML까지 치른 결과, 모든 step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정리 노트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내용을 첨가하여 좀더 체계적인 저만의 노트를 만들어보고자 하였고, 주위 분들의 도움으로 우여곡적 끝에 마침내 책을 펴내게 되었습니다.

 KMA에서 여러 번 출제된 내용들은 대부분 일차 진료 의사로서 꼭 알아야 되는 기본적인 지식들입니다. 즉KMA를 열심히 준비하시면 지식 면에서는 일차 진료를 수행하거나 병원에서 수련을 받으실 때 정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책은 KMA에 자주 출제되는 내용과 기본항목 그리고 문제형식을 의대의 족보처럼 정리한 후, 꼭 알아야 되는 지식들만 추려서 기술하였습니다. 짧은 시간내에 전체적인 내용 정리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훌륭한 의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많은 분들에게 이 책이 좋은 친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끝으로 이 책이 나오기까지 전폭적인 지원을 해주신 신흥메드싸이언스 출판사의 홍성혁 사장님과 홍성철 부장님께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2005년 8월
김 경 원

 

목차

 < 1권 >
 서문
 SPEED UP 내과란?

 순환기학
 I.     서론
 II.    부정맥
 III.   심부전
 IV.   허혈성 심 질환
 V.    급성 심근경색
 VI.   고혈압
 VII.  심근질활
 VIII. 심낭 질환
 IX.   심장판막 질환
 X.    감염성 심내막염
 XI.   심장 종양
 XII.  대동맥 질환

 호흡기학
 I.     호흡기 증상 및 이학적 검사  
 II.    진단적 검사
 III.   천식
 IV.   만성 폐쇄성 폐질환
 V.    폐렴
 VI.   흡인성 폐렴 및 폐농양
 VII.  기관지 확장증
 VIII. 과민성 폐렴 및 호산구성 폐렴
 IX.   간질성 폐 질환
 X.    폐결핵
 XI.   폐암
 XII.  폐동맥 색전증
 XIII. 흉막 질환
 XIV. 환기 장애
 XV.  급성 호흡부전 및 기계호흡
 XVI. ARDS

 소화기학
소화기계 질환
 I.     복통 및 복부진찰    
 II.    식도 질환
 III.   위 질환
 IV.   위암
 V.    급성 장폐쇄
 VI.   위장관 출혈
 VII.  허혈성 장 질환, 게실 질환, 기능성 장 질환
 VIII. 염증성 장 질환
 IX.   소장 및 대장 종양
 X.    흡수 장애
 XI.   복수 및 복막 질환

간질환
 I.     간 질환의 진단적 검사  
 II.    황달
 III.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IV.   만성간염
 V.    독성&약물 유방성 간손상
 VI.   알코올성 간 질환
 VII.  간경변증
 VIII. 간종양
 IX.   기타 간 질환

담도 질환
 I.     담석증  
 II.    급성 담낭염
 III.   총담관결석
 IV.   담관암
 V.    담낭암
 VI.   기타 담도계 질환

췌장 질환
 I.     급성 췌장염  
 II.    만성 췌장염
 III.   췌장암

 혈액학
 I.     혈액계  
 II.    빈혈의 개요
 III.   철결핍성 빈혈 및 기타 적혈구 생성 감소 질환
 IV.   용혈성 빈혈 및 기타 적혈구 파괴 질환
 V.    백혈병
 VI.   골수증식성 질환
 VII.  림프종
 VIII. 형질세포 질환
 IX.   지혈 및 응고 장애
 X.    수혈

 종양학
 I.     서론  
 II.    역학적 특징
 III.   암의 진단 및 병기판정
 IV.   암의 치료
 V.    종양수반 증후군
 VI.   종양 응급

 < 2권 >
 신장학
 I.     서론
 II.    수분 및 전해질 대사이상
 III.   산증 및 알칼리증
 IV.   진단적 검사
 V.    급성 신부전
 VI.   만성 신부전
 VII.  투석 및 신장이식
 VIII. 사구체 질환
 IX.   세뇨관 간질성 신 질환
 X.    신혈관 질환
 XI.   유전성 신 질환
 XII.  신장결석
 XIII. 요로감염

 내분비학
 I.     서론  
 II.    뇌하수체 전엽 질환
 III.   뇌하수체 후엽 질환
 IV.   갑상선 질환
 V.    부갑상선 질환 및 칼슘 대사 이상
 VI.   대사성 골 질환
 VII.  부신 질환
 VIII. 갈색세포종
 IX.   당뇨병
 X.    저혈당증
 XI.   고지혈증
 XII.  비만
 

 감염학
 I.     서론    
 II.    발열(Fever) 및 패혈증(Sepsis)
 III.   병원 감염
 IV.   그람양성세균 감염
 V.    그람음성 감염
 VI.   협기성 세균 감염
 VII.  Spirochetes 감염
 VIII. 리케챠, 마이코플라즈마, 클라미디아 감염
 IX.   진균 감염
 X.    기생충 감염
 XI.   바이러스 감염

 류마티스학
 I.     서론    
 II.    뼈관절염(골관절염)
 III.   류마티스 관절염
 IV.   척추 관절염
 V.    통풍
 VI.   전신홍반성 낭창
 VII.  전신선 경화증
 VIII. 염증성 근병증
 IX.   쇼그렌 증후군
 X.    베쳇병
 XI.   혈관염

 알레르기학
 I.     과민반응    
 II.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 및 검사
 III.   아나필락시스
 IV.   알레르기 비염
 V.    두드러기 및 혈관부종
 VI.   음식물 알레르기
 VII.  약물 알레르기

댓글